눌언민행 (訥言敏行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눌언민행 (訥言敏行) 訥 (눌): 말을 더듬다, 말을 천천히 하다 言 (언): 말, 언어, 표현을 의미함 敏 (민): 민첩하다, 빠르게 움직이다 行 (행): 행동, 실천, 나아감을 뜻함 의미 및 유래 눌언민행(訥言敏行)은 ‘말은 더디지만 행동은 민첩하다’는 뜻으로, 말을 앞세우기보다는 행동과 실천을 중시하는 삶의 태도를 강조하는 사자성어이다. 이 표현은 언행의 일치를 중요시하고, 말만 앞세우는 … Read more

왕좌지재 (王佐之才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왕좌지재 (王佐之才) 王 (왕): 임금, 왕을 의미함 佐 (좌): 돕다, 보좌하다 之 (지): ~의, 관계나 소유를 나타내는 말 才 (재): 재주, 능력, 재능을 의미함 의미 및 유래 왕좌지재(王佐之才)는 ‘왕을 보좌할 만한 뛰어난 재능’이라는 뜻으로, 주로 왕이나 최고 지도자를 도와 국가나 조직에 큰 공을 세울 수 있는 인재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다. 즉, … Read more

산전수전 (山戰水戰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산전수전 (山戰水戰) 山 (산): 산, 험난하고 거친 자연환경을 의미 戰 (전): 반복 사용되어 ‘물에서의 전투’를 뜻함 水 (수): 물, 강이나 바다와 같은 수중 환경 의미 및 유래 산전수전(山戰水戰)은 문자 그대로 ‘산에서 싸우고 물에서 싸운다’는 뜻으로, 산과 물을 오가며 겪는 온갖 고난과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사자성어이다. 본래는 전쟁에서 다양한 지형과 환경 속에서 … Read more

도리성혜 (桃李成蹊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도리성혜 (桃李成蹊) 桃 (도): 복숭아나무 李 (리): 자두나무 成 (성): 이루다, 형성되다 蹊 (혜): 좁은 길, 오솔길 의미 및 유래 도리성혜(桃李成蹊)는 ‘복숭아나무와 자두나무 아래에는 사람들이 자주 드나들어 자연스럽게 길이 생긴다’는 뜻으로, 덕이 있는 사람은 굳이 자기를 내세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모여들고 따르게 된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이다. 이 표현은 진정한 인품과 덕망이 … Read more

새옹지마 (塞翁之馬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새옹지마 (塞翁之馬) 塞 (새): 변방, 국경지대에 있는 성 또는 마을 翁 (옹): 늙은이, 노인을 의미 之 (지): ~의, 소유 또는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 馬 (마): 말, 가축 중 하나로 이야기에 등장하는 중심 사물 의미 및 유래 새옹지마(塞翁之馬)는 ‘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’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로, 인간의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그 결과가 … Read more

방약무인 (傍若無人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방약무인 (傍若無人) 傍 (방): 곁, 옆을 뜻하며 주변이나 주위를 의미 若 (약): 같다, ~처럼 보이다 無 (무): 없다, 존재하지 않음을 뜻함 人 (인): 사람, 타인을 의미 의미 및 유래 방약무인(傍若無人)은 ‘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행동한다’는 뜻으로, 주변 사람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말하거나 행동하는 태도를 비판적으로 표현하는 사자성어이다. 이 표현은 흔히 … Read more

구불응심 (口不應心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구불응심 (口不應心) 口 (구): 입, 말하는 것을 상징 不 (불): 아니다, 부정 應 (응): 응하다, 일치하다 心 (심): 마음, 내면의 생각이나 의도 의미 및 유래 구불응심(口不應心)은 ‘입이 마음에 응하지 않는다’는 뜻으로, 말과 마음이 일치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사자성어이다. 곧, 겉으로는 좋은 말이나 옳은 말을 하지만 실제 마음속의 생각이나 진심은 그렇지 않은 … Read more

낭중지추 (囊中之錐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낭중지추 (囊中之錐) 囊 (낭): 주머니, 물건을 담는 가죽이나 천으로 된 물건 中 (중): 가운데, 안 之 (지): ~의, 연결하는 역할 錐 (추): 송곳, 날카롭고 뾰족한 도구 의미 및 유래 낭중지추(囊中之錐)는 ‘주머니 속의 송곳’이라는 뜻으로, 유능한 사람은 아무리 자신을 감추려 해도 언젠가는 그 능력이 밖으로 드러나게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. 이 표현은 … Read more

대기만성 (大器晩成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대기만성 (大器晩成) 大 (대): 크다, 위대함을 상징 器 (기): 그릇, 인물의 재능이나 역량을 의미 晩 (만): 늦다, 시간이 오래 걸림을 의미 成 (성): 이루다, 완성하다 의미 및 유래 대기만성(大器晩成)은 ‘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’는 뜻으로, 위대한 인물이나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, 단기간에 완성되지 않는다는 깊은 의미를 담고 있다. … Read more

백중지세 (伯仲之勢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백중지세 (伯仲之勢) 伯 (백): 맏이, 우두머리 仲 (중): 둘째, 버금가는 之 (지): ~의, ~하는, ~의 것 勢 (세): 형세, 기세, 상황 의미 및 유래 백중지세(伯仲之勢)는 힘이나 실력이 엇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한다. 이는 원래 맏형(伯)과 둘째(仲)의 관계처럼 큰 차이가 없는 경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, 고대 중국의 역사와 문헌, 특히 삼국지에서 자주 … Read mor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