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불식정 (目不識丁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목불식정 (目不識丁) 目 (목): 눈, 시각을 뜻함 不 (불): 아니다, 부정의 의미 識 (식): 알다, 식별하다 丁 (정): 한자의 기본 글자 중 하나, 가장 단순한 자형 의미 및 유래 목불식정(目不識丁)은 ‘눈으로 보고도 정丁 자를 알지 못한다’는 뜻으로, 글자를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. 흔히 ‘까막눈’이라는 표현으로 번역되며, 읽고 쓰는 능력이 … Read more

위인설법 (爲人設法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위인설법 (爲人設法) 爲 (위): 위하다, 행하다, 만들다의 뜻 人 (인): 사람, 인간을 의미 設 (설): 세우다, 만들다, 설정하다 法 (법): 법, 규칙, 제도, 규범을 의미 의미 및 유래 위인설법(爲人設法)은 ‘사람을 위해 법을 만든다’는 뜻으로,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을 위해 기존에 없던 법을 새로 만들거나, 기존 법을 고쳐서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이다. … Read more

과이불개 (過而不改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과이불개 (過而不改) 過 (과): 허물, 잘못을 뜻함 而 (이): 그리고, ~하면서도를 의미 不 (불): 아니다, 부정의 의미 改 (개): 고치다, 수정하다, 개선하다를 의미 의미 및 유래 과이불개(過而不改)는 ‘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다’는 뜻으로,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알면서도 이를 바로잡지 않는다면 그것은 더 큰 잘못이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는 사자성어이다. 이 표현은 중국 … Read more

백문불여일견 (百聞不如一見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백문불여일견 (百聞不如一見) 百 (백): 백, 수를 나타내며 매우 많은 횟수를 의미 聞 (문): 듣다, 소문이나 소식을 접함 不 (불): 아니다, 부정의 의미 如 (여): 같다, ~만큼이라는 의미 一 (일): 하나, 한 번을 의미 見 (견): 보다, 직접 눈으로 확인함을 의미 의미 및 유래 백문불여일견(百聞不如一見)은 ‘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… Read more

왕후장상영유종호 (王侯將相寧有種乎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왕후장상영유종호 (王侯將相寧有種乎) 王 (왕): 왕, 국가의 최고 통치자를 의미 侯 (후): 제후, 봉건 제도에서 왕 아래 지방의 영주 將 (장): 장수, 군대의 지휘관을 의미 相 (상): 재상, 왕을 도와 국가를 다스리는 최고위 관리를 의미 寧 (영): 어찌, 반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말 有 (유): 있다, 존재함을 의미 種 (종): 씨앗, 혈통이나 출신을 … Read more

양두구육 (羊頭狗肉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양두구육 (羊頭狗肉) 羊 (양): 양, 양의 머리를 뜻하며 겉보기 좋은 것을 상징함 頭 (두): 머리, 윗부분 또는 앞면을 의미함 狗 (구): 개, 개고기, 속과 실질적인 것이 다름을 상징함 肉 (육): 고기, 본질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의미함 의미 및 유래 양두구육(羊頭狗肉)은 문자 그대로 ‘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실제로는 개고기를 판다’는 뜻으로, 겉모습이나 표면적으로 … Read more

박이부정 (博而不精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박이부정 (博而不精) 博 (박): 넓다, 다방면으로 아는 것을 의미 而 (이): ~하지만, 그러나라는 역접의 의미 不 (부): 아니다, 부정의 의미 精 (정): 정밀하다, 깊고 세밀함을 의미 의미 및 유래 박이부정(博而不精)은 ‘여러 방면에 널리 알기는 하지만 어느 한 분야에도 깊이 있게 통달하지 못했다’는 뜻으로, 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어도 깊이가 부족하여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… Read more

신상필벌 (信賞必罰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신상필벌 (信賞必罰) 信 (신): 믿다, 신뢰하다, 확실하게 하다 賞 (상): 상, 칭찬하거나 포상함을 뜻함 必 (필): 반드시, 꼭, 엄중히 罰 (벌): 벌, 처벌하거나 책임을 묻는 것을 의미함 의미 및 유래 신상필벌(信賞必罰)은 ‘상과 벌을 확실하고 엄중하게 시행한다’는 의미로, 공적과 잘못에 따라 공정하게 포상과 처벌을 행하여 규율과 질서를 확립하고, 공정성을 유지하는 원칙을 나타내는 … Read more

오월동주 (吳越同舟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오월동주 (吳越同舟) 吳 (오): 오나라, 중국 춘추시대의 국가 이름 越 (월): 월나라, 오나라와 원수지간이었던 춘추시대의 국가 이름 同 (동): 같다, 함께하다 舟 (주): 배, 선박 의미 및 유래 오월동주(吳越同舟)는 문자 그대로 ‘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에 타다’라는 뜻으로, 평소에는 서로 적대적이고 원수지간에 있던 사람들이라도 공동의 목적이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으로라도 … Read more

사면초가 (四面楚歌)

사자성어 및 한자 표기 사면초가 (四面楚歌) 四 (사): 넷, 사방을 의미함 面 (면): 얼굴, 방향 또는 면을 나타냄 楚 (초): 초나라, 중국 고대의 초나라를 의미함 歌 (가): 노래, 가곡, 음악을 뜻함 의미 및 유래 사면초가(四面楚歌)는 글자 그대로 ‘사방에서 들리는 초나라의 노랫소리’라는 뜻으로, 사방이 모두 적에게 포위되거나 도움을 받을 곳이 전혀 없어 완전히 고립된 절망적인 상황을 … Read more